달러엔 환율 160엔 돌파, BOJ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은?

달러엔 환율 160엔 돌파

달러엔 환율이 또다시 160엔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당국이 개입한지 2개월만이다. 시장 기대와 달리 일본은행이 구체적인 QT 방안 발표를 7월로 미룬 상태에서, 미국 금리 인하 지연 우려, 유럽 정치 불안이 확대되면서 엔화 약세가 재개된 것이다. 
침고로 달러-엔 환율이 160엔을 돌파하는 것은 올해 4월 29일 이후 두달만이며 현 달러-엔 환율 수준은 1986년 12월 이후 처음일 정도로 엔화 약세 속도가 예상보다 가파른 상황이다.

  • 일본 정부 개입에도 달러엔 환율 상승이 지속되는 이유
  • 지연되는 BOJ 통화정책 정상화와 일본 실질임금
  • 달러엔 환율 상승, 동아시아 동반 통화 약세로 확산
  • 일본은행, 달러엔 환율 관리 위해 추가적 시장개입 불가피
  • 달러엔 환율 상승, 원화 변동성 확대도 피할 수 없다

일본 정부 개입에도 달러엔 환율이 상승 지속되는 이유

마침내 달러엔 환율이 160엔대에 진입했다. 심리적 방어선인 160엔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엔화 약세 심리가 쉽게 누그러지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졌다.

일본 정부의 잇따른 구두개입과 실개입에도 불구하고 엔화 약세가 꺾이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은 미국과 일본간의 통화정책 차별화 현상 때문이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되는 가운데 일본은행의 긴축 전환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딘 속도를 보이면서 미국과 일본간의 통화정책 차별화 현상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일본 경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슈퍼 엔저 효과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물론 대외순자산 최대보유국인 일본의 외환보유고를 보면, 개입 여력은 충분해 보인다. 하지만 일본 정부 보유 외환보유고 상당 부분을 미국채가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환율 방어를 위한 미국채 매도가 미국채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 미국과 일본간의 금리치가 확대되며 다시 엔화 약세 압력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달러엔 환율 상승 추세, 1986년 이후 최고 수준의 달러엔 환율
1986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달러엔 환율

지연되는 BOJ 통화정책 정상화와 실질임금

대내외 변화에 취약해진 엔화 가치에 시장의 일본은행 통화정책 정상화 기대는 여전히 높다. 하지만 높은 물가 수준에도 불구하고 일본 가계의 실질 소득 감소, 정부 등 부채 부담에 일본은행은 통화정책 정상화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일본은 최장기간 실질임금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가계 구매력이 악화되고 있다. 한편, 춘투 협의 결과(기본급 3.54% 인상)는 7월 발표될 5월 임금부터 반영될 예정이다.

실질임금이 상승 전환되면, 가계 구매력 회복,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달성 가능성 확대로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힘이 더욱 실릴 것으로 예상한다.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에 소극적인 또다른 이유는 정부 부채 부담이다. GDP 대비 250% 수준의 정부 부채 규모에도 디폴트 위험이 크지 않았던 것은 이자비용이 낮았기 때문이다.

기준금리는 10bp만 올려도 현 수준의 2배가 된다. 금리 인상에 따른 정부 이자비용의 확대가 불가피하다.

여기에 9월 자민당 총재 선거까지 앞두고 있어 일본은행은 정책 결정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정부 외에 기업, 가계 또한 마이너스 금리에 장기간 익숙해진 상황으로 이자비용 지불 자체에 대한 부담 확대 또한 예상된다.

일본은행 외환보유고 현황, 달러엔 환율 하락을 위한 통화정책 변경 쉽지 않다.

달러엔 환율 상승, 동아시아 통화 동반 약세로 전환

결국 엔화 안정을 위해서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스탠스 전환이나, 일본 실질임금 개선 확인이 필요하다. 그전까지 당국 개입이 예상되나, 일시적으로 160엔 돌파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

엔화 약세에 최근 위안화도 약세를 용인하면서 동아시아 통화가치가 동반 취약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달러원환율 역시 한은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까지 더해져 단기 연고점 돌파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일본은행, 달러엔 환율 관리 위해 추가적 개입 불가피

과도한 엔저 현상이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 즉 물가 상승 압력 확대, 소비심리 위축, 그리고 일본 정부의 부채 부담 확대 등을 고려하면 일본 정부 입장에서 지난 4~5월과 같은 직접적인 외환시장 개입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외환시장 개입만으로 엔화 약세 심리를 진정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의 고민은 깊어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는 7월 개최될 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 혹은 양적완화 규모 축소와 같은 추가 긴축조치 단행이 불가피해 보인다.

다만,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긴축 전환 속도와 관련하여 정책적 실기를 한 측면이 있어 7월 추가 긴축조치가 엔화의 약세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이미 엔화의 취약성이 노출되어버린 상황에서 투기 세력의 엔화 약세 공격이 진정될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즉 엔화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엔화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리스크는 여전히 높은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와 기관들이 과도한 엔화 약세를 방어하기 위해 해외 달러 자산을 매도하는 등의 엔화 방어에 나설 수 있음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달러엔 환율 상승 추세, 1986년 이후 최고 수준의 달러엔 환율
달러엔 환율 추가 상승에 배팅하는 투기적 포지션

달러엔 환율 상승, 원화 변동성 확대도 피할 수 없다.

원화와 엔화간의 동조화 현상이 강해진 상황에서 엔화 가치 급락 현상은 당연히 원화 가치 하락 압력으로 이어질 것이다. 정부가 1,400원 선에서 스무딩 오퍼레이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엔화 추가 약세 시 달러원 환율의 1,400원 안착은 불가피하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본 정부가 엔화 가치 방어를 위해 해외자산 매도와 일본은행의 공격적 긴축조치가 추진된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은 물론 국내 금융싲상에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